안드로이드 MVVM 아키텍처 (Android Apps Using MVVM Architecture)
"아키텍처" 라는 주제는 사실 쉽게 이해하기도 힘들며, 완벽한 답안이 있는 게 아니다 보니 어떤 원칙대로 설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호함과 어려움이 있어서 쉽게 놓치곤 합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 적합한 아키텍처를 정의하지 않으면 코드 베이스가 커지고 팀이 확장됨에 따라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유지보수 : 유지하고 보수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가독성, 테스트, 기능 추가, 변경, 삭제, 버그 수정, 인수인계...) 그렇기 때문에, 괜찮은 방식의 아키텍처를 정하는 것에 대해 고민할 수밖에 없고 좋은 아키텍처는 개발자에게 명확한 프로젝트 가독성과 더 큰 효율과 생산성을 가져다준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설명드릴 MVVM 아키텍처는 우리에게 가장 좋은 래퍼런스가 되는 Google Android A..
코틀린 전환과 같이하면 좋은 선행작업!
코틀린 전환의 선행작업 코틀린 전환을 시작하면서, 코틀린 전환에 효과적인 선행작업은 무엇이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단순히 자바를 코틀린으로 바꾼다면 그저 문법 변환에 그치고, 결과적으론 기존 래거시와 동일한 프로젝트 구조에 문법만 코틀린인채로 남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틀린 전환을 하기에 앞서, 아키텍처를 선정하여 잡아놓고 시작한다면, 구조적으로 유리할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와 테스트에도 용이하며, 코틀린 언어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앱의 구조가 튼튼해져서 훨씬 더 성공적인 코틀린 전환이 될 수 있을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럼 아키텍처 정의에 앞서, 코틀린 전환과 아키텍처 선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AndroidX 라이브러리를 먼저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