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형프로그래밍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틀린(Kotlin) - 람다 식과 멤버 참조 코틀린의 람다는 자바8의 람다식과 개념이 매우 비슷합니다. 람다를 쉽게 설명하자면, 값처럼 여기저기 전달할 수 있는 동작의 모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람다식은 자바8부터 사용이 가능하고, 안드로이드에서 제대로 된 Functional Interface를 사용하려면 N(Nougat 7.0) OS 이상이어야만 합니다. 하지만, 코틀린에서는 이런 제한과 상관없이 람다식을 사용할 수 있다는게 큰 장점이지 아닐까 싶습니다. 추가로, 람다식은 기본적으로 편리한 Lambda API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개발할 때 자동완성 기능을 이용해서 먼저 해당 API를 살펴본다면, 훨씬 더 간결하고 직관적인 코드를 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람다 소개 : 코드 블록을 함수 인자로 넘기기 ".. 이전 1 다음